-
[대충정보] 내 방식으로 이해하고 쓰는 텐트 용어 및 스펙대충 정보 2020. 7. 4. 16:24300x250
"대충아빠-캠프로그"
*대충정보의 스펙 표준화-2020년07월01일자부터 작성된 글에 적용*
0. 모든 글들은 공식 표기된 내용을 제 개인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한 것입니다.
1. 공식 홈페이지에 공개된 스펙을 해당 부위 전부에 적용된 것으로 이해합니다.
-일부분(본체의 지붕, 스커트, 측면 등) 스펙을 전체 스펙인 것처럼 표기될 수도 있지만, 무시합니다.
2. 공식 홈페이지에 공개된 스펙에 표기된 PU, WP, UV, UVP, UV50+는 그 기능 또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별도의 가공을 진행한 것으로 이해합니다.
-일부분을 전체로하거나... 동일 원단에 동일한 기능 또는 효과가 있지만 어디는 UV를 표기하고 어디는 UV를 표기하지 않는 상황은 무시합니다.
3. "PM"는 피그먼트 코팅(가공, 처리, 피막 등)을 의미하는 저만의 표기법 입니다.
-피그먼트(PM)라고 스펙을 표기하기 귀찮아서....
4. 차광 항목은 현재 마케팅으로 사용되고 있는 블랙코팅, 블랙 피그먼트 코팅, 암막, 실버 등등 빛의 투과를 억제하는 도색(염료, 염색) 처리로 이해합니다.
-실제 블랙코팅, 블랙 피그먼트코팅, 암막 등의 표기를 살펴보면 대부분 PM(피그먼트)에 색상을 입힌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일부 PU(폴리우레탄)에 색상가공을 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차광 처리 횟수나 질에 따라서 차광율이 좋겠지만... 현재 그 어디에서도 차광율을 표기한 제품이 없으므로 참고하시고 사진 또는 실제품 유심히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5. 내수압 600(생활방수 수준)이하 및 자외선 차단(UV, UVP, UV50+)은 취소선(
-자외선 차단은 원단자체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폴리에스테르가 210T 원단이 대략 자외선을 95% 차단한다고 합니다.(전체적으로 맞는 듯..) 또한 자외선 차단은 필름 또는 코팅 소재의 품질 또는 횟수에 따라서 UV차단율이 달라집니다.
실제 XXX코팅, UV차단, 차광, 블랙코팅 등....코팅 횟수에 따라서 그 효과가 천차만별입니다. 하지만 코팅 횟수 또는 코팅의 두께 등에 대해서 일부 제품만 홍보하고 있는 수준입니다.
세부 사항을 확인할 수 없기에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한편 UV50+는 UV차단 수치입니다만 타 제품의 UV 가공이 얼마 만큼인지 비교할 수 없어서 취소선으로 일괄 표기합니다.)
6. "BR"은 원단에 아무런 코팅을 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취소선(
-BR은 통풍이 되는... 숨을 쉴수 있는...이란 의미 브레스 어쩌고 입니다. 원단에 특별한 가공이 필요없는 부분인 이너텐트에 보통 BR표기 합니다. 왜냐면 아무런 코팅을 안해도 성능에 문제가 없기 때문이죠 그러니 자연스레 BR이 되는 겁니다. 뭐랄까... 아무짓도 안했는데 상대방이 대단한 기술이 적용된 것처럼 오인할 수 있는 부분인 거죠...
7. 내수압은 숫자로만 표기합니다.
-대부분 텐트 스펙에 "내수압 3000" OR "PU-3000" 등으로 표기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내수압을 올리기 위해서 폴리우레탄(PU)을 코팅합니다. "PU-3000"은 결국 새로운 가공방식을 채용한 우수한 제품인 듯한 느낌이 생길수도 있기에 그냥 숫자로만 표기합니다..
-한편, 내수압은 폴리우레탄(PU) 코팅뿐만 아니라 UV, PM 등의 코팅에 의해서도 상승합니다.
*대충정보의 스펙 기본 지식*
1. 내수압은 외부에 노출된 부분이 1500 이상만 되어도 폭우를 견딥니다.
그리고 이너 바닥은 폭우시 텐트 내부로 침수하여 물이 고였을 때를 대비하여 내수압이 높게 설계될 수 있습니다. 별도의 그라운드 시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큰 의미가 없습니다.
2. 스킨
테피터(P-폴리소재/T)는 보통 68D로써, 얇고 가볍지만 약합니다. 옥스포드(P-폴리소재/옥스포드)는 보통 150D로써, 두껍고 무겁지만 튼튼합니다. 립스탑(P-폴리소재/R)은 보통 68D로써 얇고 가볍우며 튼튼합니다. 경량 텐트(백패킹)에는 20D에 립스탑을 많이 사용합니다. 한편 면은 "C"로 표기하며 P(폴리소재)C(코튼-면)을 혼합한 혼방 또는 순수 C(면)만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튼튼함 : P/T(테피터) < P/O(옥스포드) = P/R(립스타) *립스탑은 튼튼한 실을 중간중간에 썩어서 만든 겁니다.
테피터의 약함을 보완하기 위해서 텐시티(T-밀도) 높게해서 사용합니다.
"T(텐시티-밀도)와 D(데니어-실굵기)가 높을 수록 무거워지고, 튼튼합니다.
300x2503. 방수 관련
방수는 내수압을 대변하는 스펙일 수 있습니다. 보통 방수와 발수로 구분됩니다.
방수에는 WP(일반 가공), PU 코팅으로 구분되거나 병행하여 처리 될 수 있습니다.
발수에는 WR(일반 가공), TF(테프론) 코팅, 초발수(DWR)으로 구분되거나 병행하여 처리될 수 있습니다.
4. TPU는 투명 창을 의미합니다.(유리 창과 같은 기능입니다.)
5. 지붕창은 본체의 지붕에 방충망으로 창을 만든 겁니다.
6. 출입구 지붕은 출입구에 돌출된 지붕 구성입니다.
7. 확장 캐노피는 측면을 지붕처럼 만드는 것인데... 기존 면적을 더 확장할 수 있는 구성입니다.
8. 캐노피 가드는 캐노피 측면을 막아주는 구성입니다. 비 또는 빛을 차단하거나 캐노피 면적을 확장합니다.
좋은 텐트 구하세요~
300x250'대충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충정보] 5*7이상_1/3_B_사진_최저가격58만원~95만원-5*7이상 사이트에 적합한 대형 거실형 텐트 (0) 2020.07.08 [대충정보] 5*7이상_1/3_A_최저가격58만~95만원-5*7이상 사이트에 적합한 대형 거실형 텐트 (9) 2020.07.08 [대충정보] 고투 블랙(블렉)인젠트 VS 타제품(타우루스, 옐로우스톤 등)비교 (15) 2020.07.01 [대충정보]4*6-4/4-B_135만원이상 사진-4*6 사이트 기준 가격별 거실형(쉘터, 2룸, 리빙)텐트 (9) 2020.06.26 [대충정보]4*6-4/4-A_135만원 이상-4*6 사이트 기준 가격별 거실형(쉘터, 2룸, 리빙)텐트 (0) 2020.06.26